본문바로가기



페이지 위치

Home > 회원서비스 > 회원자료실 > 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상세보기
국내·외 스마트SOC 동향(KDB미래전략연구소)
작성자 : 총괄관리자 작성일 : 2024-10-10 조회수 : 105
상세보기
첨부파일 국내·외 스마트SOC 동향(KDB미래전략연구소).pdf [22건 다운로드]
스마트SOC는 도로, 철도, 항만 등 다양한 사회기반시설에 정보통신기술을 적용한 개념으로, 수집한 정보를 센서 등을 통해 디지털화하고 디지털 플랫폼을 통해 분석·예측하는 인프라이다. 최근 국내 SOC의 노후화로 인해 사회비용이 증가하고 안전사고 문제가 제기되고 있어 위기 상황에 선제 대응이 가능한 스마트SOC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국내 스마트SOC 적용 분야는 크게 교통, 디지털 트윈, 수자원, 재난 대응 으로 구분되며, IoT 센서·AI·무선 통신 등을 활용해 각 사회기반시설의 사용 목적에 걸맞은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해외 스마트SOC는 국가별 디지털 경쟁력에 따라 다른 발전 양상을 보이며, 국토·교통 분야를 중심으로 수많은 민간기업이 개발에 참여하고 있다.

 세계 각국은 국가 기반시설의 디지털화 및 경제부양을 목표로 스마트SOC 구축을 확대하는 정책을 펼치고 있다. 미국 인프라 투자와 일자리 법안(IIA), EU 기가비트 인프라법(IA), 중국 신인프라건설 정책(新基建) 등 전세계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스마트SOC 관련 프로젝트에 국가 예산을 지원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코로나19 이후 디지털 뉴딜 정책을 시작으로 현재 디지털 플랫폼에 초점을 맞춘 SOC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스마트SOC는 경기부양과 성장잠재력 확충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효과적 수단으로, 국내 핵심기술과 노하우 등의 수출도 가능할 것이다. 또한 스마트 SOC는 지방균형발전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상세보기
  • 담당부서경영지원팀
  • 담당자정다운 대리
  • 전화번호02-569-8896

만족도를 평가해주세요

  • 1
    매우 불만
  • 2
    불만
  • 3
    보통
  • 4
    만족
  • 5
    매우 만족

별점주기

  • 컨텐츠 바로가기
  • 교육일정표
  • 기업집단 서류접수
  • 전자경유 신청등록

페이지 맨 위로 이동